
봉준호 감독 '미키17' 원작소설
에드워드 애슈턴의 '미키7'
최근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17'은 전 세계 영화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이 영화의 원작 소설인 에드워드 애슈턴의 '미키7' 역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키7'의 줄거리, 주요 테마, 그리고 영화와의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미키7'의 줄거리
먼 미래, 인류는 우주로의 확장을 이어가며 새로운 행성
'니플하임'을 개척하려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소모인력(익스펜더블)'인 미키7은 탐사 도중 얼음 구덩이에 추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소모인력은 죽을 경우 이전의 기억을 가진 새로운 복제인간으로 재생되는데, 미키7 역시 이러한 운명을 반복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미키7이 살아남아 기지로 돌아오지만, 이미 그의 복제인간인 미키8이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두 미키는 자신의 존재를 숨기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이 과정에서 정체성, 생명, 그리고 인간성에 대한 깊은 질문을 마주하게 됩니다.
주요 테마와 철학적 질문
'미키7'은 복제인간의 존재를 통해 정체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집니다. 같은 기억과 성격을 지닌 두 개체가 동시에 존재할 때, 과연 어떤 존재가 '진짜'인지에 대한 고민을 유발합니다. 또한, 소모인력이라는 개념을 통해 계급 간의 모순과 노동의 가치를 탐구하며,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에 대한 사회적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제들은 독자들에게 깊은 사색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영화 '미키17'과의 차이점
봉준호 감독의 '미키17'은 원작 소설 '미키7'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에서는 미키17과 미키18이 등장하며, 이들의 성격이 서로 다르게 묘사됩니다. 이는 과학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한 설정으로, 원작에서는 미키7과 미키8이 동일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그려집니다. 또한, 영화는 봉준호 감독 특유의 사회적 비판과 유머를 가미하여 원작과는 또 다른 매력을 선사합니다.
원작 소설의 인기와 영향력
영화 '미키17'의 개봉과 함께 원작 소설 '미키7'은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출판사 황금가지에 따르면, '미키7'은 영화 개봉과 함께 각 서점에서 베스트셀러에 진입하며 판매 부수 10만 부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원작 소설이 영화와 함께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미키7'의 문학적 가치
에드워드 애슈턴의 '미키7'은 단순한 SF 소설을 넘어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복제인간이라는 소재를 통해 생명과 죽음, 정체성과 인간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또한, 우주 개척과 새로운 행성의 토착 생명체와의 갈등을 통해 인류의 확장과 그로 인한 윤리적 문제를 고찰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미키7'을 단순한 오락 소설이 아닌, 깊이 있는 문학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게 합니다.
결론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17'의 원작 소설인 에드워드 애슈턴의 '미키7'은 SF 장르의 외피 속에 인간 존재와 사회 구조에 대한 깊은 질문을 담고 있습니다. 복제인간 미키의 여정을 통해 독자들은 정체성, 생명, 그리고 인간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영화와 소설의 차이점을 비교하며 감상하는 것도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할 것입니다. '미키7'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하는 작품입니다.
'[책요약] 문학,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 한강의 언어로 기억과 상실을 꺼내보다 (2) | 2025.04.15 |
---|---|
몰입감 최고치! 정유정의 심리 스릴러소설 '종의기원' (2) | 2025.04.10 |
숨막히는 전개와 반전의 미스터리 소설 : 정해연작가의 홍학의 자리 (4) | 2025.04.05 |
나는 메크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5) | 2025.04.04 |
20세기 최고의 걸작, 장편소설 '스토너' 책리뷰 (1) | 2025.04.03 |